수출 바우처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exportvoucher.com)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exportvoucher.com) 및 이용 안내입니다.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를 아시나요?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는 중소·중견기업이 자사 역량에 맞는 수출지원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바우처 형태로 지원받게 하는 홈페이지 입니다. 아래 방법으로 바로가기 하세요.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exportvoucher.com)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exportvoucher.com

  •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소재·부품·장비 분야)
  •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그린 분야)
  •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소비재 분야)
  •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서비스 분야)
  • 중견기업 글로벌 지원
  • 내수기업 / 튼튼한 내수기업
  • 초기기업
  • 유망기업
  • 성장기업
  • 강소기업
  • 경기도 수출기회바우처
  • 광주광역시 기업맞춤형 수출성공패키지 지원사업
  • 충청북도 수출촉진기업 바우처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 제공 구조

사업 안내, 신청 방법, 수행기관 현황, 지원 서비스 메뉴, 공지사항 등 기업들이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합니다. 특히, 수출지원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을 메뉴화하여 기업이 쉽게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고, 바우처 발급과 수행 과정도 온라인을 통해 투명하게 관리됩니다.

신청 절차 안내에서는 서류 제출부터 평가, 선정, 바우처 발급과 지원 서비스 이용까지 단계별 흐름을 상세히 설명하며, 제출서류인 사업계획서, 표준재무제표증명원, 중소기업확인서 등의 필요 서류도 명확히 안내합니다.

수출 바우처 홈페이지 역할

국내 수출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플랫폼입니다. 수출바우처 사업을 통해 기업은 비용 부담을 줄이고, 맞춤형 수출지원 서비스를 받아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수출바우처 사업

각 정부부처 수출지원 사업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자사의 수출역량에 맞는 수출지원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바우처’ 형태로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수출지원기반활용 사업안내

추진배경은? 기업이 자사의 수출역량에 맞는 수출지원사업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진행하도록 지원합니다.- 정부 부처 수출지원사업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지원기관 서비스의 양적, 질적 제고를 유도합니다.

수출바우처 사업이란?

수출역량을 키우고픈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수출지원서비스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게 보조금을 바우처 형태로 지원

바우처의 구성

정부는 선발과정을 거쳐 선정된 수출기업에 보조금을 바우처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이 일정액의 자비부담을 하면, 그에 상응하는 국가 보조금 을 정부에서 지급하고, 그 총액을 쿠폰 형태의 수출바우처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수출바우처를 받은 기업은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포털 (www.exportvoucher.com)에서 수출업무에 필요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기업도 직접 선택해서 수출에 필요한 업무를 맡깁니다.

참여가능 사업유형

연중 한 번 바우처사업에 선정되면, 다른 사업유형으로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구매가능 서비스

참여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은 메뉴판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메뉴판에는 총 14개 분야에 약 7,500여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보조금 지원한도

수출역량, 업종에 따라 바우처 발급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정부예산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 상황에 맞춰 필요한 만큼의 보조금을 슬기롭게 지 원하기 위함입니다. 여러분의 회사가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 살펴보시고, 정부로부터 최대 얼마만큼의 보조금(국고)을 받을 수 있는지, 또 자비부담은 얼마만큼 내야 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관부처사업명지원 대상바우처 발급액
(국고+자비부담)
국고 보조율
산업부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소재·부품·장비 분야)
· [진입]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
· [성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
· [확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0억원 이상
· [진입] 2천만원~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성장] 2천만원~7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확장] 2천만원~1억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중소] 70%
· [중견] 50%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그린 분야)
· [진입]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
· [성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
· [확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0억원 이상
· [진입] 2천만원~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성장] 2천만원~7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확장] 2천만원~1억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중소] 70%
· [중견] 50%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소비재 분야)
· [진입]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
· [성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
· [확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0억원 이상
· [진입] 2천만원~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성장] 2천만원~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확장] 2천만원~55백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중소] 70%
· [중견] 50%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
(서비스 분야)
· [진입]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
· [성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 [확장] 2021~2023년 평균 매출액 50억원 이상
· [진입] 2천만원~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성장] 2천만원~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확장] 2천만원~55백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
· [중소] 70%
· [중견] 50%
중견기업 글로벌 지원사업· [내수중견] 중견기업 중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이 10%미만 이거나 수출액 1,000만 달러 미만
· [Jumping 중견글로벌] 예비중견기업
· [중견글로벌] WC300/WC Plus, 중견기업
· [Post 중견글로벌] ‘중견글로벌’ 5회 참가기업
· [내수중견] 최대 1억원
· [Jumping중견글로벌] 최대 1억
· [중견글로벌] (중소) 최대 1.3억 / (중견) 최대 2억
· [Post중견글로벌] 최대 2억
· 30~70%
* 지원요건별 상이

이상입니다.

[다른글]

https://zzalbot.com국가평생교육진흥원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